세미나 정책 논평2012. 1. 19. 23:43

민주통합당 새지도부 선출의 의미는 한마디로 ‘탈호남’이다.

김성수 이래로 호남에 기반을 둔 민주당이 ‘지역당’이라는 한계를 벗어나 전국정당으로 변화 발전하는 모습은 높이 평가할만하다.

하지만 호남에서 바라보는 관점은 그리 편치 못하다.

호남은 한나라당에서 배제되고, 민주당에서도 벗어날 대상으로 간주됨으로써 ‘정치적 섬’으로 고립될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한나라당은 박정희시대 이래 호남-비호남 구도의 호남고립 전략을 수정할 전망과 비전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어 나는 이에 강하게 항의하면서 탈당을 결행한 바 있다.

민주통합당의 새지도부에 호남출신 인사는 박지원 최고위원 단 한 명으로 그것도 4등으로 겨우 입성했다.

민주당은 호남색을 지워야 전국정당화와 대선승리를 이끌어낼 수 있다는 계산에 탈호남을 가속화할 것이다.

더 심각한 문제는 호남의 맥을 이을 젊은 세대가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것은 노무현의 후계들이 줄을 지어 새 지도부를 장악해가는 것과 대조된다.

이러한 현상은 김대중대통령이 후계자들을 적극 키우지 않았다는 이유도 있겠지만, 호남의 정치인들이 쉽게 당선되는데 안주해 정치적 역량을 키우지 못했다는데 더 큰 원인을 찾을 수 있다.

그동안 민주당 깃발이면 무조건 뽑아준 필연적인 결과다.

타지역 정치인들에게 호남의 정서를 충분히 이해하고 발전이 지체된 곳을 챙겨줄 것으로 기대하기는 어렵다.

여야를 막론하고 지역을 대변하고 지역을 대표하고 대한민국을 이끌어갈 인물을 키워야 한다.

인물을 키우지 않는다면 호남은 정말 아무도 챙겨주지 않는 고립된 섬이 되고 말 것이다.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